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

용접 중 구멍, 찌그러짐, 색상 차이의 원인 금속 표면에 작은 구멍(핀홀)이 생기는 이유용접을 하다 보면 용접선(비드)이나 용접 부위에 바늘로 콕 찍은 것 같은 작은 구멍, 즉 ‘핀홀(pinhole)’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현상은 초보자에게 매우 흔한 경험이며, 실제로 경험 많은 작업자도 때때로 겪는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핀홀이 생기는 것일까요?1) 핀홀의 주된 원인* 표면의 오염(녹, 기름, 먼지 등): 금속 표면에 남아 있는 기름, 먼지, 녹, 페인트, 습기 등이 용접 과정에서 고온에 의해 갑자기 기화(증발)하면서 용접 금속 속에 아주 작은 기포를 만들어냅니다. 이것이 용접이 식으면서 내부에 남아 ‘핀홀’이 됩니다.* 용접봉 보관 불량 또는 습기: 용접봉이 습기에 노출되어 있거나, 표면에 이물질이 묻은 상태로 사용될 때 피복.. 2025. 6. 28.
용접 소리, 불꽃, 연기의 비밀 ‘지지직’ 소리와 밝은 불꽃은 정상일까요?용접 실습장에서 처음 기계를 작동하면 대부분 “지지직” 또는 “치치치”와 같은 특유의 소리가 들립니다. 또한, 아주 밝고 강렬한 불꽃이 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소리와 불꽃은 초보자에게 신기하고 조금 무서울 수도 있지만, 과연 모두 정상인 현상일까요?1) ‘지지직’ 소리의 정체* 아크 발생 소리: 용접의 핵심 원리는 ‘아크(arc)’라는 불꽃 방전 현상입니다. 아크가 발생하면서 공기 중을 타고 흐르는 전자가 금속 표면을 때리면서, 전기적 에너지와 열,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이때 나는 소리가 바로 “지지직” 또는 “치치치” 하는 소리입니다. 이 소리는 용접이 잘 되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정상 소리와 이상 소리: 적당한 전류와 아크 길이(불꽃의 거리.. 2025. 6. 27.
용접 후 식힘과 금속 변화의 비밀 용접 후 물로 급히 식히면 생기는 문제용접 실습이 끝난 직후 금속이 매우 뜨겁다는 사실을 모두 압니다. 이때 “시간을 절약하고 싶어서” 혹은 “금방 손으로 만지고 싶어서” 물을 뿌려 급하게 식히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이렇게 해도 괜찮을까요? 실제로 현장에서는 왜 권장하지 않는지 그 이유를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1) 급속 냉각이란?용접 후 금속 표면이 200도~1,000도 이상으로 달궈져 있을 때 찬물을 끼얹거나, 젖은 천으로 식히는 것을 “급속 냉각” 또는 “퀜칭(Quenching)”이라고 부릅니다. 이 과정은 금속의 표면 온도를 순간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2) 왜 위험할까요?* 내부 응력(스트레스) 발생: 금속의 바깥과 속은 식는 속도가 다릅니다. 겉은 급격히 식고, 안쪽은 천천히 식으면서 수.. 2025. 6. 27.
용접 표면 변화와 두께 차이의 영향 금속 표면이 반짝이다가 갑자기 흐릿해지는 이유용접 실습을 하다 보면 처음에는 금속 표면이 아주 반짝이고 깨끗해 보이다가, 어느 순간부터 흐릿하거나 뿌옇게 변하는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초보자뿐 아니라 숙련자에게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며, 금속과 용접의 과학적인 원리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1) 표면 광택의 변화 원리* 산화막 형성: 금속이 고온에 노출되면 공기 중의 산소와 빠르게 반응합니다. 이때 금속 표면에 얇은 산화막(녹과는 다르지만 산소와 결합한 막)이 생기는데, 처음에는 얇아서 반짝이지만, 점차 두꺼워지면 빛이 산란되어 표면이 뿌옇고 흐릿해 보입니다.* 냉각 속도와 열분포 차이: 용접 중에는 국소적으로 고온과 냉각이 반복되면서 표면 상태가 계속 변합니다. 일정 온도 이하로.. 2025. 6. 27.
용접 전 표면 준비와 실습 후 청소법 용접 전에 금속 표면의 녹, 기름, 먼지, 페인트를 꼭 제거해야 할까요?용접 실습을 준비할 때 “금속에 조금 녹이나 기름이 있어도 그냥 해도 되지 않나요?” 또는 “페인트나 먼지가 묻어 있어도 상관없나요?”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용접 전에 금속 표면의 녹, 기름, 먼지, 페인트 등 모든 오염물을 최대한 깨끗하게 제거해야만 튼튼하고 안전한 용접이 가능합니다.1) 왜 오염물이 문제일까요?* 접합력 저하: 금속끼리 용접이 잘 되려면 표면이 완전히 닿아야 합니다. 하지만 녹이나 먼지, 기름, 페인트가 남아 있으면 용접봉과 모재(붙일 금속)가 제대로 융합되지 않습니다. 마치 테이프를 먼지 묻은 벽에 붙이면 금방 떨어지는 것처럼, 용접도 표면 오염 때문에 약해집니다.* 기공·불량.. 2025. 6. 25.
용접봉 사용과 관리의 모든 것 용접봉을 손으로 많이 만지면 성능이 떨어지나요?용접 실습을 하다 보면 “용접봉을 손으로 만지는 게 습관처럼 되는데, 괜찮은가요?”라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특히 초보자는 용접봉을 잡거나 옮길 때 맨손으로 자주 다루게 됩니다. 그런데 정말 손으로 많이 만지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1) 용접봉의 구조와 민감성* 피복(코팅)의 역할: 대부분의 용접봉은 중심에 금속(심선)이 있고, 그 바깥을 흰색 또는 회색의 분말 코팅이 두껍게 덮고 있습니다. 이 피복은 용접 시 불꽃을 안정시키고, 금속 표면을 산소와 수분, 불순물로부터 보호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피복은 매우 약합니다: 마치 얇은 분필처럼, 충격이나 압력, 습기, 기름에 쉽게 부서지거나 흠집이 납니다.2) 손으로 만지면 생기는 문제* 땀과 .. 2025. 6. 25.